지속가능에너지기술센터
지속가능에너지기술센터 (핵심기술/중점연구분야)
바이오소재/에너지 & 인공광합성

수소에너지 & 촉매

IT/모바일 배터리

저탄소 친환경 철강

지속가능에너지기술센터(CSET)는 한양대학교 ERICA의 한양환경에너지기술연구원(HY-IEET) 산하의 연구조직입니다.
한양환경에너지기술연구원(HY-IEET)의 CSET은 바이오소재/에너지 & 인공광합성, 수소에너지 & 촉매, IT/모바일 배터리, 저탄소 친환경 철강 등의 중점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자들이 모여서 친환경/지속가능한 에너지와 소재에 관련된 연구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CSET의 목표는 친환경 소재∙에너지, 탄소저감형 산업기술, 기후 변화 대응기술의 발전을 통해 지속가능한 산업과 경제를 만드는 것이며, 세부적으로는 아래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성과와 기술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 친환경 바이오연료와 바이오소재
- 인공광합성·에너지
- 수소생산용 나노촉매
- 탄소중립형 친환경 철강 기술
- 차세대 리튬-이온 배터리
- 기후변화 대응기술
- 귀금속, 희소금속 농축-회수
- 계면 에너지 최적화
- 초고강도 철강소재
- 고엔트로피 합금
참여교원
센터 구성원의 연구 수행 역량 소개
-
김태현 교수 연구팀
-
이선영 교수 연구팀
-
조국영 교수 연구팀
-
김종호 교수 연구팀
-
박주현 교수 연구팀
-
이화성 교수 연구팀
-
김진경 교수 연구팀
-
조용우 교수 연구팀
-
비카스 비제이 마그둠 연구
김태현 교수 연구팀

김태현
- 바이오리파이너리, 바이오매스 전처리 공정
- 바이오에너지, 친환경 바이오화학소재 생산
- 산학협력제1부단장 / 경기안산 강소특구지원단장
- Iowa State Univ. Assist. Professor (2007-2012)
- USDA-ARS-ERRC (2005-2007)
- 삼성엔지니어링 (1995-1999)
- LG화학 (1994-1994)
- 저서; 바이오매스 기초와 응용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6개, 약 7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2개, 약 0.6억
- 논문: 17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2건/1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1건
김태현 교수 연구팀
바이오연료 / 바이오화학소재 / 친환경소재 연구
- 기존 석유계 대체 주요 chemicals (lactic acid, levulinic acid, furfural, 5-HMF 등), building block chemicals, 나노셀룰로오스
- 환경친화적 산업용 화학소재, 섬유, 식품, 환경, 건축/내장, 건강, 의료, 화장품의 기초 원료 및 소재
촉매, 효소, 미생물 발효 반응공정 연구
- 재생 가능한 화학 원료인 cellulose, hemicellulos, lignin, lipid, protein 등의 화학적-생물학적 분리 정제 기술 및 응용제품 기술
바이오연료 제조 통합공정 개발

바이오매스 전처리 /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 개발

천연물기반 고부가가치 화학소재 / 니노셀룰로오스

이선영 교수 연구팀

이선영
- 저차원 나노 복합체 구조 및 인공광합성 시스템 개발
- 친환경 저비용 나노 입자 적층 시스템 개발
- 전기 변색 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 개발 전문가
-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위한 탄자니아 교육 사업
- 美 Intel/Applied Materials 연구원 (1995-1997)
- LG 전자 기술원 책임연구원 (2002-2006)
- IJPEM-Green Technology Editorial Board 멤버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내/해외 PCT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6 개, 약 10억+
- SCI급 논문: 32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8건/9건
이선영 교수 연구팀
광환원 메커니즘 규명 및 인공광합성 시스템 개발
- 자연 광합성을 모방한 인공광합성으로 CO2 선택도 최대화
- 저차원 나노 복합체의 밴드갭 제어 및 노블 메탈 프리 광촉매 재료 개발
- 탈탄소화 기술로 태양에너지 이용 CO2 분해 및 CO, CH4 생산
친환경 건식 적층 시스템 기반 전기 변색 소자 연구
- 저전압 구동 젤 전해질 개발로 1m2 대면적 스마트 윈도우 제작
- Zero-transmittance 구현 스마트 미러 개발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위한 탄자니아 교육 사업
- 탄자니아 현지 ATC 대학 메카트로닉스·재료공학 학사과정 설립
- 재학생 파견 봉사프로그램을 통한 지역사회 공헌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위한 탄자니아 교육 사업

광환원 메커니즘 규명 및 인공광합성 시스템 개발

친환경 건식 적층 시스템 기반 전기 변색 소자 연구

조국영 교수 연구팀

조국영
- 이차전지 4대 소재 (양극/음극/분리막/전해질) 개질을 통한 전지 성능 향상 연구
- 차세대 리튬 이차 전지 연구 (리튬금속전지/전고체전지)
-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2005 - 2006)
- LG화학 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2002 - 2004)
- Adv. Mater., Adv. Funct. Mater., J. Mater. Chem. A 등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제/국내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약8억+
- 만간과제 수주실적: 약2억+
- 논문: 22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5건/3건
- 해외특허 출원: 1건
조국영 교수 연구팀
Advanced 리튬 이차 전지 연구 개발
- 고전압 구동 첨가제 소재 연구 연구 개발
- Flexible 리튬 이차전지 집전체 소재 연구 개발
- 중대형 전지용 세라믹 코팅 분리막 소재 연구 개발
- High-Ni 양극 소재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 고안정성 실리콘 음극 소재 개발
차세대 리튬 이차 전지 연구 개발
- 차세대 리튬 금속 전지의 리튬 금속 음극 안정화 기술 연구
- 차세대 전고체 전지의 황화물계 복합 전고체전해질 소재 개발
기능성 유기재료 응용
- 다양한 구조의 기능성 고분자 입자 제조
- 전기 변색 소자 연구
Advanced & 차세대 리튬 이차 전지 연구 개발


김종호 교수 연구팀

김종호
- 저차원 유무기 나노소재 전문가
- 차세대 배터리용 나노 전기화학촉매 기술
- 수소 생산용 나노 광촉매 기술
- 나노센서 & 나노치료기술
- Nature Nanotechnology, Nature Chemistry, Nature Communications 등 최상위 논문 다수 발표 (h-Inhdex 42, i10-index 65)
- 삼성전자, 아모레퍼시픽, 현대자동차 등 다수의 산업체 과제 수행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7.1 억 원
- 산업체과제 수주실적: 총 12.3 억 원
- 논문: 총 20 편 (상위 10% 이내 논문 15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6건/11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6건/1건
김종호 교수 연구팀
저차원 유무기 나노소재 합성 연구
- Bottom-up 기반 나노소재 액상 합성법 연구
- 탄소 나노소재, TMD, 유/무기 양자점, 플라즈모닉 입자
- 반응 원리 탐구 및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나노소재 기능화 & 원자 수준 나노구조 제어
- 다양한 나노소재의 계면 기능화 및 특성 탐구
- 원자 & 분자 수준의 나노구조 제어 및 활성 평가
신개념 나노센서 & 나노치료기술 연구
- 환경 오염물질 & 질병 마커 검출용 나노센서 개발
- 검출 및 치료가 가능한 나노테라노스틱스 연구

나노 전기화학촉매 및 차세대 배터리 연구

수소 생산용 나노 광촉매 연구

박주현 교수 연구팀

박주현
- 금속, 세라믹 재료의 리싸이클링과 자원순환공정 개발
- 온실가스 (CO2) 저감을 위한 금속(철강) 제조공정 개발
- 친환경, 에너지 저감형 금속 제조공정 개발
- 스웨덴 왕립공과대학 (KTH), 겸임교수 (2019-현재)
- 중국 북경과기대학 (USTB), 겸임교수 (2020-현재)
- POSCO 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2002-2008)
- 현대제철 제1호 친환경 철강연구실 책임교수 (2021-현재)
- POSCO 탄소중립 기술자문교수 (2021-현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5개, 약 21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7개, 약 3.4억
- 논문: 62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9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1건
- EPD Science Award (미국금속재료학회 최고논문상)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
박주현 교수 연구팀
금속, 세라믹 재료의 리싸이클링을 통한 유가금속 회수 기술
- 폐전기전자기기 (WEEE) 처리 효율 향상을 위한 건식제련 프로세스 연구
- Pyrometallurgical Processing을 통한 귀금속, 희소금속 회수
- 고온 반응기 내 Slag-Refractory 계면반응 현상 규명
철강 및 비철금속 제조공정에서 환경유해물질과 에너지 저감 기술
- 탄소중립 2050 대응형 전기로 내 수소환원철 (H2-DRI) 이용기술 연구
- 인체유해원소 (Fluorine) 사용 저감을 통한 친환경 철강공정 개발
- 전기-수소차용 연료전지 분리판, 모터용 전기강판 제조공정 개발
순환경제, 탄소중립사회 구현을 위한 친환경 철강기술

폐전기전자기기로부터 귀금속, 희소금속 농축-회수 기술

컴퓨터 응용 열역학 기반, 미래 모빌리티용 철강소재 제조기술

이화성 교수 연구팀

이화성
- 유기∙고분자 기반 전자소자 전문가
- 유기전자소자 및 센서 설계 기술
- 표면 및 계면제어를 통한 계면에너지 최적화 기술
- 나노입자 분산 및 복합고분자소재 기술
- 포항공대 고분자연구소 근무 (2009)
- New York Univ. 연구원 (2009-2011)
- Adv. Mater. Adv. Funct. Mater., Chem. Mater. 등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내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2개, 약 10억+
- 논문: 23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10건/3건
이화성 교수 연구팀
전자피부용 차세대 센서 연구
- 피부부착가능한 유연 압력, 변형, 화학센서
- 고신뢰도, 빠른 응답속도를 가진 다양한 센서 연구
- 외부신호 감지 메커니즘 규명
변형가능한 유기전자소자 연구
- 웨어러블 전자분야에 적용 가능한 유연하고 변형에 안정한 전자소자 연구
- 계면구조 제어를 통한 전자소자 에너지 최적화 연구
계면공학을 적용한 층간 에너지 최적화 연구
- 표면에너지 제어를 통한 박막간 에너지 구조 최적화 연구
- 나노입자 표면제어를 통한 고분자복합체 연구 및 응용
전자피부용 차세대 센서 연구

변형가능한 유기전자소자 연구

계면공학을 적용한 층간 에너지 최적화 연구

김진경 교수 연구팀

김진경
- TEM을 활용한 미세구조 분석 전문가
- 금속재료의 공정-미세조직-기계적 물성의 상관관계 연구
- 초고강도 철강, 고엔트로피 합금 개발 연구
- Acta Materialia 7편, Scripta Materialia 6편 등 금속재료 분야 상위 저널에 다수의 논문 게재
- 대한금속재료학회 POSCO 젊은철강상 (2021)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약 4억7천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1억
- SCI 논문: 14 편
김진경 교수 연구팀
자동차용 초고강도 철강 소재 개발
- 석출강화 초고강도 중망간강 개발
- 중망간강의 공정 최적화 연구
고강도-고연신 고엔트로피 합금 개발
- 탁월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고엔트로피 합금의 미세조직 제어기술 연구
- 고엔트로피 합금의 미세조직 정밀 분석 연구
초고강도 철강 소재 개발

고엔트로피 합금 개발


조용우 교수 연구팀

조용우
- 2016 실험실 창업, (주)엑소스템텍 대표이사
- 다년간 국가 과제 수행
- 다양한 세포 유래 엑소좀 연구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3개, 약 9억+
- SCI 논문: 12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 7 건/2 건
- PCT 출원 : 8 건
- 해외특허 출원 : 15 건
(미국: 5, 유럽: 5, 일본: 4, 중국: 1) - 기술이전 : 약 4천 3백만원+
조용우 교수 연구팀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Exosome) 연구
-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분리・정제 및 특성분석
- 엑소좀을 이용한 다양한 질환 치료제(폐섬유증, 퇴행성 관절염, 비만, 암 등) 연구
- 엑소좀을 이용한 세포 리프로그래밍 연구
식물 엑소좀 연구
- 다양한 식물에서의 엑소좀 분리・정제 및 특성분석
- 엑소좀을 이용한 효능 연구(미백, 항산화, 주름 개선 등)
엑소좀 엔지니어링 연구
- 인간 신장 유래 세포(HEK293T)의 DNA 형질주입을 통해 엑소좀에 치료 목적 단백질 발현
- 치료 목적 단백질을 포함한 엑소좀의 특성 분석 및 효능 연구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Exosome) 연구
-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특성분석

엑소좀 엔지니어링
- DNA 형질주입을 통한 photo-cleavable exosomes

식물 엑소좀 연구
- 식물 유래 엑소좀의 항산화 및 상처 치유 효능 연구

비카스 비제이 마그둠 박사 연구

비카스 비제이 마그둠
- Assistant Professor at Ashokrao Mane Group of Institutions, Vathar Tarf Vadgaon, MS, India
- Completed Ph. D. in Physics from D. Y. Patil Education Society, Kolhapur, MS, India.
- Worked on various research projects during Ph. D.
- Worked as Junior Research Fellow at University of Mumbai, MS, India.
- Worked as Lecturer at Latthe Polytechnic Sangli, MS, India.
최근 3년간 실적
- Published 17 research articles (SCI)
- Granted 2 Indian patents (2 submitted)
- 2 copyrights registered
비카스 비제이 마그둠 박사 연구
Development of hybrid heterostructure materials
- MoS2 anchored 2D exfoliated titanate nanosheet thin films were synthesized using combination of dip-coating and modified SILAR method.
- Hybrid material showed increased surface area and photodegradation.
Effect of precursor variation on degradation performance
- MoS2 thin films were deposited using ammonium molybdate, sodium molybdate and molybdenum trioxide precursors.
- Sodium molybdate helps for the uniform growth of MoS2 nanoparticles.
Deposition of highly uniform MoS2 thin films
- MoS2 thin films are deposited using modified SILAR method and employed for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tetracycline hydrochloride antibiotic.
Synthesis and exfoliation of 2D materials

Development of hybrid materials

Energy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